
Scope란 프로그램상 사용되는 변수들이 사용가능한 범위를 가지고 있는데, Scope는 변수의 범위 이다. JSP에서 사용되는 Scope는 Application, Session, Request, Page 이렇게 4가지이다.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 영역인데 사용할 수 있는 메서드는 setAttribute(), getAttribute(), removeAttribute(), getAttributenames() 4가지가 있다. JSP내장된 객체들 범위를 그림으로 표현된 모습이다. Application > Request > Session > Page 순이다. Scope의 특징으로 Page scope page에 변수를 지정해서 사용한다. 다른 언어에서는 지역변수처럼 사용한다고 보면 된다. Request Sco..

사용해 본 내비게이션은 stack, bottomtab, drawer 세 가지를 사용해 봤는데 그중 stack 내비게이터를 사용해 보겠습니다. (공식문서 링크) React Navigation reactnavigation.org 리엑트 내비게이션 설치 npm install @react-navigation/stack 버튼을 눌러서 스택내비게이터로 game이라는 화면으로 넘어가게 만들어보겠습니다. 폴더 생성 이름도 그럴싸하게 지어서 screens 폴더에 뒀습니다. 원리는 Screen컴포넌트들이 Stack에 의해 name 이 지정되면 navigation 이름을 바꿔줘 화면을 스택을 쌓아 이동하는 방식입니다. stacknavigation을 화면을 이동하면서 props로 navigation을 전달해 화면을 표시해 주..

배열이나 컴포넌트를 사용하면서 반복되는 return값을 map()이라는 함수를 많이 사용하실 텐데 이때 state나 배열에 데이터가 없다면 에러가 납니다. "데이터가 없는데 어떻게 데이터를 부르겠다는 거냐" 그럴 때는 state가 갖는 특성인 리렌더링을 이용하셔서 데이터가 들어왔다면 return값을 바꿔주는 삼학 연산자를 더해주면 됩니다. randomDiaryData.map((my, index) => { return ( ); }) 직접 만든 카드 컴포넌트에 randomDiaryData라는 배열을 map을 돌려 순서대로 출력하는 코드입니다. 이때 randomDiaryData에 값이 없다면 map() 함수에서 에러가 납니다. 이럴 때 삼학연산자를 사용해서 randomDiaryData [0] 안에 데이터값이 ..

자바나 spring을 사용할 때 JDK를 설치해서 bin 파일을 환경변수 설정하는데 c:\java\jdk15\bin 으로 설정하는게아닌 위에 jdk의 경로를 % JAVA_HOME%\bin처럼 변수로 만들어 사용합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여러 버전의 JDK를 사용하거나 경로를 변경할 때 편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번 JAVA_HOME변수를 설정해 두면, JDK 경로를 바꿔야 할 때에는 JAVA_HOME변수의 값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환경변수 설정은 윈도우에서 다음과 같은 과정을 따릅니다. 실제로 한 사례로 Tomcat 실행시킬 때 에러가 났었는데 변수로 만들어서 사용하니 오류가 해결된 경우도 있다고합니다. 또, JVM이 'java.exe'를 찾지 못한다고 합니다. 그 외에도 표준화를 ..

스프링 프레임 워크에서는 Model(데이터)과 View(화면) 그리고 Controller(제어) 세 가지 요소들이 서로 분리되어 있어서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이중에서도 컨트롤러 부분을 좀 더 자세하게 살펴봐야 합니다. MVC패턴 자체는 효율적으로 협업하기 위한 개발 방법론입니다. MVC 1과 MVC2가 존재합니다. 두 개발 방법론에는 장단점이 있겠지만 보통 View와 Controller를 따로 구분해 사용하는 mvc2패턴을 많이 사용합니다. mvc2패턴은 널리 표준으로 사용되는 패턴이죠 view에서 컨트롤러에 대해서 어떠한 정보도 알지 말아야 한다는 규칙이 있습니다. 우선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model 데이터를 다루는 코드를 짭니다. 효율적으로 db와 주고받는 코드의 알고리즘을 다룹니다 con..

스프링이란 java응용 프로그램을 신속하게 개발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입니다. 보통 '스프링'이라고 하지만, '스프링 프레임워크'가 정확한 표현입니다. 스프링을 의존성 주입(Dependency, DI)이나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Aspect Oriented Programming, AOP)과 같은 기능뿐 아니라 기본적으로 웹을 개발할 수 있는 웹 MVC프레임워크도 같이 제공합니다. 추가로 스프링은 로깅, 데이터 엑세스, 트랜잭션 처리, 보안,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등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됩니다. 스프링은 유연한 모듈 방식을 채택하여 필요한 기능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장점으로는 - 성능이 뛰어나고 테스트가 쉬우며 재사용이 가능한 코드를 작성합니다. - java EE 플랫폼에서 웹 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