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바나 spring을 사용할 때 JDK를 설치해서 bin 파일을 환경변수 설정하는데 c:\java\jdk15\bin
으로 설정하는게아닌 위에 jdk의 경로를 % JAVA_HOME%\bin처럼 변수로 만들어 사용합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여러 버전의 JDK를 사용하거나 경로를 변경할 때 편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번 JAVA_HOME변수를 설정해 두면, JDK 경로를 바꿔야 할 때에는 JAVA_HOME변수의 값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환경변수 설정은 윈도우에서 다음과 같은 과정을 따릅니다.
실제로 한 사례로 Tomcat 실행시킬 때 에러가 났었는데 변수로 만들어서 사용하니 오류가 해결된 경우도 있다고합니다.
또, JVM이 'java.exe'를 찾지 못한다고 합니다.
그 외에도 표준화를 따르는데 많은 자바 기반 프로젝트와 도구들이 JAVA_HOME 변수를 참조하고 있기 때문에, 이 표준화된 변수명을 사용하면 충돌이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결국, 환경 변수를 사용한 이유는 효율적인 경로 관리, 표준화된 명명법, 및 유지 보수 측면에서의 장점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JAVA_HOME을 사용하면 개발 환경을 좀 더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예상치 못한 에러를 방지하기 위해 JAVA_HOME으로 변수로 만들어 path에 설정해 주세요.
728x90
반응형
'Back End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Boot 스프링 부트 테스트를 위한 주요 어노테이션 활용 방법 @Test @After @Before (2) | 2023.07.21 |
---|---|
Spring 프로젝트 구조 web.xml, root-context, servlet-context, 프로젝트 환경설정 파일 (0) | 2023.06.28 |
Spring 프로젝트 구조 mvc 프로젝트 폴더 구조, 스프링 동작 순서 (0) | 2023.06.28 |
Spring 스프링 MVC 패턴이란, 모델-뷰-컨트롤러, mvc 구성요소 (0) | 2023.06.22 |
Spring 스프링이란, POJO란, 비즈니스 로직이란, AOP 란 스프링 이론들 (0) | 2023.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