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제
GitHub에서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default branch는 'main'입니다. 이 default branch는 프로젝트를 생성하거나, 브랜치를 만들 때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브랜치입니다.
요즘 gitflow에 맞춰 배포하는 main 브랜치 보다 협업 개발할 때는 develop를 많이 사용하죠. merge, branch 생성 등등.
그런데 기본값이 main이라서 살짝 번거롭더라고요. 그래서 main에서 다른 브랜치로 변경하는 방법을 다루겠습니다.
해결방안
먼저, 변경하고 싶은 레포지토리로 이동합니다.
레포지토리 화면의 오른쪽 상단에 있는 'Settings'를 클릭하여 레포지토리 설정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레포지 토리 설정 페이지에서 왼쪽 메뉴의 'Branches'나 첫 화면에서 'branch'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default branch가 표시됩니다.
변경하려면 change 버튼을 클릭하고 변경하려는 브랜치를 선택한 후 UPDATE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런 건 당연히 초기에 설정해두는 게 좋겠죠??
해결
gitHub를 사용하면서 필요 없을지도 모르지만 간헐적으로 필요한 기능인 것 같아, 조금 더 편리하게 협업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 같아 포스팅합니다.
이젠 merge 진행하면 자동으로 base branch를 찾아 선정해주네요 ㅎㅎ
시간 내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깃허브, 노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깃허브 commit history에서 과거 파일, 코드 사이트에서 확인하기 (0) | 2023.08.11 |
---|---|
Visual Studio Code 로 markdown 편집기로 사용 vscode 마크다운 편집기 (2) | 2023.06.18 |
Github 깃허브 프로필 꾸미기, profile 꾸미기 (0) | 2023.06.13 |
git README 깃허브 리드미, 깃허브 프로젝트 소개하기, 레파지토리 첫 화면 꾸미기 markdown사용법 (2) | 2023.06.12 |
Notion 노션이란, 온라인 협업 플랫폼 노션 맛깔나게 사용하기 (0) | 2023.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