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article thumbnail
반응형

 

 

우선 2행 3열 배열을 만들어서 출력해 보면

public class Test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rr = new int [2][3];
		
		for(int i=0;i<arr.length ;i++) {
			for(int j=0;j<3;j++) {
				System.out.println(arr[i][j]);
			}
		}
	}
}

 

 

위의 코드에서는 2행 3열의 2차원 배열을 생성하고, 이를 출력해 줍니다. 값이 할당되지 않았으므로 모두 0이 출력됩니다.

위에 arr의 데이터를 시각화해 보면

 

이렇게 생겼을 것입니다. 물론 공간을 만들어주고 값을 주지 않았으니 0으로 채워져 있을 것입니다.

 

 

배열은 행과 열의 개수가 달라도 됩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행에는 4개의 열을, 두 번째 행에는 2개의 열을 가진 배열 은 다음과 같이 생성할 수 있습니다.

public class Test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rr = new int [2][];
		
		arr[0] = new int [4];
		arr[1] = new int[2];

		for(int i=0;i<arr.length;i++) {
			for(int j=0;j<arr[i].length;j++) {
				System.out.println(arr[i][j]);
			}
		}
	}
}

 

 

 

시각화하면 이렇게 생겼겠네요.

 

열을 비워주고 채워주지 않으면 에러가 납니다. 즉 그림을 그려보면 화살표는 그리고 선을 따라갔는데 주소랑, 값이 없어서 그제야 에러가 나는 것입니다.

 

화살표를 선언하고, 그 화살표가 갔을 때 값들을 채워주는 것입니다. arr [0]에는 4개의 열을 만들어주고, arr [1]에는 2개의 열을 만들어주는 것입니다.

 

하지만!!

처음 선언할 때 int [][] arr = new int [2] [ ];라고 적지 않고

int [ ] arr = new int [2]라고 적고 거기에 추가를 해준다면 화살표가 없기 때문에 에러가 납니다.

빈 첨자는 화살표, 링크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728x90
반응형
profile

LoGin

@LoGinShin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