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End/Spring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 Spring Initializer의 활용법
LoGinShin
2024. 1. 12. 02:22
반응형
제가 백엔드 spring 공부하기 시작할 때부터는 스프링 프로젝트 만들어주는 사이트가 있었는데 옛날 없던 시절에는
직접 코드로 한줄한줄 프로젝트 설정해줬다고하네요... 그래도 인터넷에서 공유해서 복붙정도는 했겠죠.
그래서 소개드릴 spring project 클릭 몇번으로 만들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이미 많은 개발자들은 알고계셔도 이런 글을 계속 올려줘야 최신 정보로 업데이트되니 가볍게 작성해 보겠습니다.
Spring Boot프로젝트 생성 화면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프로젝트를 gradle로 할지 maven으로 할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Project
- Gradle-Groovy : Groovy언어를 사용하여 Gradle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 Gradle-Kotlin: Kotlin 언어를 사용하여 Gradle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 Maven: Maven 빌드 도구를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Language
- Java: Java언어를 기반으로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 Kotlin : kotlin 언어 기반 플젝 생성
- Groovy: 생략...
Spring Boot
- Spring Boot버전들입니다. (SNAPSHOT)이 붙으면 아직 안정화되지 않은 데일리 빌드 버전이라 합니다. 보통 최신 버전들 증명되지 않은 버전들에 붙으니 안 붙은 최신 버전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 그 외에도 여러 버전이 있으니 찾아보세요
ProjectMetadata
- Group: 프로젝트의 그룹을 지정합니다. com.example와 같은 패키지 구조를 가집니다.
- 순서대로 아티팩트 이름지정
- 프로젝트 이름지정
- 프로젝트 간단한 설명
- 기본 패키지명
- 패키징 형식 선택
Java
- JDK 버전 선택
Dependencies
- 프로젝트에 필요한 종속성(라이브러리)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라이브러리에 따라 여러 종속성을 선택하여 프로젝트에 미리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저는 위와 같이 프로젝트 다운로드하고 inteliJ에서 open 해줬습니다.
main/java 들어가서 클래스를 실행시켜 줍니다.
밑에 같이 아스키 아트로 로고가 찍힙니다.
브라우저 url 적는 곳에 8080 포트로 요청을 보내면
이와 같이 백에드가 잘 돌아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spring은 tomcat이라는 웹 서버를 내장하고 있으니 별 설정을 하지 않아도 잘 연결되는 모습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