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Information

개발자를 위한 프로그래밍 검색엔진 AI 모델 phind(파인드) GPT-3.5

LoGinShin 2023. 6. 4. 15:12
반응형

 

 

 

 

chatGPT로 인공지능을 많은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phind는 기존 Hello라는 사이트 이름을 갖고 있었지만 문제가 있었는지 phind로 바뀌었네요. 기존 hello 사이트는 20년도에 텍스트 자연어 처리를 이용해 개발자들에게 도움일 될만한 자료를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gpt가 업그레이드되고 gpt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많아지다 보니  phind에서도 모델을 적용시켜 이전 모델보다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됐겠죠.

 

검색은 단순 텍스트 일치 (임베딩)작업을 하여 링크만을 제공해 준다면, 이 사이트에서는 모델을 사용해 문장을 자연스럽게 생성해 주고, 참고한 링크, 출처까지 오른쪽에 표시해 줍니다.

 

 

 

 

 

 

 

 

 

 

기본화면입니다.

다른  gpt모델 사용하는 방식이랑 똑같이 사용자에게 입력값을 받네요.

 

 

 

 

 

 

 

사진을 보면 입력란 밑에 문장을 생성해 준 것을 볼 수 있고

오른쪽에는 참고한 사이트들 까지 볼 수 있네요!!

 

아쉬운 점은 gpt-3.5인데도 한글 질문에도 영어로 대답해 준다는 것입니다.

 

 

 

 

 

 

 

뭐로 만들어졌냐고 물어봤는데 대답은 잘해두고 출처를 이상한 곳을 썼네요...

그냥 참고해 보라는 뜻인가 봅니다.

 

 

 

 

 

 

왼쪽에 Best model은  gpt-4를 25번 사용할 수 있는 모양입니다. 로그인을 필요로 하더라고요.

오른쪽 short Answer은 요약해서 간결하게 말해줍니다. (저는 사용해 보면서 무슨 차이인지 모르겠네요...)

 

 

gpt-3.5, gpt4, ;wrtn도 좋지만 개발자에게 특화된 phind도 쓰임이 좋을 것 같네요.

728x90
반응형